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Programers

Programmers - DFS [불량 사용자]

1. 문제

문제 설명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 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이 때 개인정보 보호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

응모자 아이디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다음과 같이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전달된 경우,

불량 사용자

fr*d*
abc1**

불량 사용자에 매핑되어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abc123

제재 아이디

fradi
abc123

이벤트 응모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user_id와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banned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몇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한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user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user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anned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user_id 배열의 크기 이하입니다.
  • banned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 가리기 위한 문자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 하나는 응모자 아이디 중 하나에 해당하고 같은 응모자 아이디가 중복해서 제재 아이디 목록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제재 아이디 목록들을 구했을 때 아이디들이 나열된 순서와 관계없이 아이디 목록의 내용이 동일하다면 같은 것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세면 됩니다.

[입출력 예]

user_id                                          banned_id                                     result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abc1**"]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rodo", "*rodo", "******"]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rodo", "******", "******"] 3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입출력 예 #1

문제 설명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abc123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frodoc

입출력 예 #3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제재 아이디

frodo
crodo
abc123
frodoc

제재 아이디

fradi
crodo
abc123
frodoc

제재 아이디

fradi
frodo
abc123
frodoc

2. 내풀이

package Programmers.Badus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Stack;

class Combination<T> {
    private T[] arr;     //기준 배열
    private Stack<T> st; //조합을 저장할 스택
    public ArrayList<ArrayList<T>> result = new ArrayList<>();

    public Combination(T[] arr) {
        this.arr = arr;             //배열을 받아 객체에 저장한다.
        st = new Stack<T>(); //스택에 메모리를 할당한다.
    }

    public void addStack() {
        //스택에 있는 값들을 출력한다.
        ArrayList<T> array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st.size(); i++) {
            //System.out.print(st.get(i) + " ");
            arrayList.add(st.get(i));
        }
        result.add(arrayList);
    }

    public ArrayList<ArrayList<T>> doCombination(int n, int r, int index) {
        // n : 전체 개수
        // r : 뽑을 개수
        // index 배열이다보니 현재 배열의 어디를 가리키고 있는지 필요하므로.
        if (r == 0) {
            //0개를 뽑는다는건 더 이상 뽑을 것이 없다는 말과 같으므로  스택을 출력하고 함수를 종료한다.
            addStack();
            return result;
        } else if (n == r) {
            //nCr 이라는 건 나머지를 전부 뽑겠다는 말과 같으므로 전부 스택에 넣은 후 출력하면 된다.
            for (int i = 0; i < n; i++) st.add(arr[index + i]);//index부터 n개를 차례대로 스택에 넣고
            addStack(); //결과에 넣여준다.
            for (int i = 0; i < n; i++) st.pop(); //이후 전부 pop을 시켜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
        } else {
            //저 두가지 예외 사항을 빼면 점화식대로 진행하면 된다.

            //index를 포함하는 경우
            st.add(arr[index]);
            doCombination(n - 1, r - 1, index + 1); //index를 스택에 넣은상태로 index를 1옮겨 그대로 진행.

            //index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st.pop(); //index를 제거해주고
            doCombination(n - 1, r, index + 1); //index를 제외한 상태에서 n-1Cr 진행.
        }
        return result;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tring[] arr = {"rho", "doo", "hyun"};
//        Integer[] arrant = {1, 2, 3};
//        Combination combination = new Combination(arr);
//        ArrayList<ArrayList<String>> arrayLists = combination.doCombination(arr.length, 2, 0);
//        for (int i = 0; i < arrayLists.size(); i++) {
//            for (int j = 0; j < arrayLists.get(i).size(); j++) {
//                System.out.print(arrayLists.get(i).get(j) + " ");
//            }
//            System.out.println();
//        }
//
//    }
}

class Baduser {
    public boolean compareString(String A, String B) {
        char[] banID = B.toCharArray();
        if (A.length() == banID.length) {
            char[] userID = A.toCharArray();
            String stars = "";
            for (int k = 0; k < banID.length; k++) {
                stars += "*";
            }
            // bannid가 ******이면 글자수가 맞으니까 통과
            if (stars.equals(B)) return true;
            for (int k = 0; k < banID.length; k++) {
                if (banID[k] == '*') continue;
                // 글자 수가 안맞으면
                if (banID[k] != userID[k]) return false;
            }
            // 문자열이 조건이 맞으므로 List에 추가
            return true;
        }
        return false;
    }

    public int solution(String[] user_id, String[] banned_id) {
        int answer = 0;


        Combination combination = new Combination(user_id);
        ArrayList<ArrayList<String>> arrayLists = combination.doCombination(user_id.length, banned_id.length, 0);

        for (int i = 0; i < arrayLists.size(); i++) {
            int count = 0;
            for (int j = 0; j < banned_id.length; j++) {
                String A = arrayLists.get(i).get(j);
                if (compareString(A, banned_id[j])) count++;
            }
            if (count == banned_id.length) answer++;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aduser solution = new Baduser();
        String[] user_id =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String[] banned_id = {"fr*d*", "*rodo", "******", "******"};
        System.out.println(solution.solution(user_id, banned_id));
    }
}

- 못풀었다. 생각은 해내었다.

 

1. userid에서 banid의 갯수만큼 골라서 조합하고 순열하여 모든 경우의 경우를 ArrayList<ArrayList<String>>에 저장한다.

2. 모든 경우의 수를 banid와 하나씩 비교하여 조건이 되는지 보고 조건이 된다면 answer ++

3. answer 반환

 

 

... 굉장히 무식한 방법이다. 일단 java는 python과 다르게 조합과 순열이 내부함수에 없다. 그래서 

그 모든 조합을 항상 직접개발해야하는데, 모든 조합을 구하는 combination 함수(순열이 아닌)를 generic 함수를 이용해서 구현하였고 다음 순열하여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려다가 시간적소모와 비효율적인 코드가 아닌것같아서 그만두었다. 

3. 다른 사람 풀이

package Programmers.Baduser;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regex.Pattern;

class Baduser {
    private String[] userId;
    private String[] bannedRegex;
    private boolean[] checked;
    private HashSet<HashSet<Integer>> resultSet;

    public int solution(String[] user_id, String[] banned_id) {
        userId = user_id;
        checked = new boolean[user_id.length];
        resultSet = new HashSet<>();
        bannedRegex = new String[banned_id.length];
        for (int i = 0; i < banned_id.length; i++) {
            bannedRegex[i] = banned_id[i].replace("*", ".");
        }
        dfs(0, new HashSet<>());
        return resultSet.size();
    }

    private void dfs(int index, HashSet<Integer> set) {
        // 가장깊이 들어가서 더 탐색할 bannedRegex가 없다면 HashSet의 결과를 넣는다.
        if (index == bannedRegex.length) {
            resultSet.add(set);
            return;
        }
        // 유저의 길이 만큼 탐색한다.
        for (int i = 0; i < userId.length; i++) {
            // bannedId의 조건에 userId가 만족할 경우 그리고 유저아이디가 한번도 탐색하지 않았을 경우
            if (Pattern.matches(bannedRegex[index], userId[i]) && !checked[i]) {
                // 해당 유저는 탐색을 해본 경우이므로 체크
                checked[i] = true;
                // set에 탐색을 한 경우를 추가한다.
                set.add(i);
                // banned_id를 한칸 더 들어가서 탐색한다.
                dfs(index + 1, new HashSet<>(set));

                // 해당 유저보다 깊은 곳은 탐색을 마쳤으므로
                // 다시 돌아가서 다음 유저를 탐색하기 위해 checked 배열 과 Hashset을 초기화한다.
                checked[i] = false;
                set.remove(i);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aduser solution = new Baduser();
        String[] user_id =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String[] banned_id = {"fr*d*", "*rodo", "******", "******"};
        System.out.println(solution.solution(user_id, banned_id));
    }
}

- 정규표현식으로 특정 문자열을 걸러낼 수 있다. (Patttern, Matcher 클래스)

- dfs로 조합순열을 구현할 수 있다.

- HashSet<HashSet<Integer>>로 중복을 걸러낼 수 있다.

4. Tip

- java는 조합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 dfs로 모든 경우의 수마다 걸러서 구현하자

-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쉽게 문자를 걸러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