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tml

(5)
HTML - [표준 모드와 호환 모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웹표준을 지정하지 않았을 때에는 넷스케이프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용으로 웹페이지가 두가지로 나눠 작성이 되었다. 웹표준 제정당시 기존 브라우저들은 이표준형식 대로 웹 페이지들을 올바르게 묘사할 수 없었다. 그래서 두가지 형태를 제공하게 되었다. 표준 모드(standard mode), 호환 모드(quirks mode)로. 이러한 관계로 어떤모드로 렌더링 할 것인지 명시할 필요가 있어 DOCTYPE이 필요로 하게 되었고 DTD로 다양한 문서형식을 지정하여 렌더링을 지원하게 하였다. 현재는 HTML 5가 웹 표준이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닌이상 모든 HTML에서 을 명시한다. 참고 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Qui..
HTML\CSS Tip - 1 [코드 단축어, 아이콘사이트, index.html, fontawesome, heroicons, googlefont] index.html 대부분의 웹서버가 default로 index.html 이라는 파일을 찾아보도록 설정되어 있다. 영어에서는 index라는 말은 첫번째 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visual studio html TIP 1. 기본 html 형식 - ! 누르고 난후 엔터 아래와 같이 예쁜 html파일이 찍히게 된다. link:css - 단축키로서 이후 엔터를 누르면 이렇게 바로 설정이되고, css폴더 아래에 style.css파일을 만든경우이므로 이렇게 수정만 하면 css파일과 html파일이 연동이 되었다. 계단식 html 구조를 쉽게 만들자 tag>tag>tag*숫자>tag -> a a .. .class이름>tag.class이름*숫자 2. drag image in screen 이렇게 이미지와 코드(코드와 ..
CSS - 6 [pseudo selectors, attribute selectors] pseudo selectors - element를 세부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한다. tag: 요소 { } tag: last-child{ } - 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게 되며 그중 last-child는 여러 태그들중 가장 마지막의 태그를 지정한다. - html코드는 건들지 않고 css 코드 안에서 태그의 css를 바꿀수 있으므로 id, class 따위보다 위와 같은 방법이 훨씬 나은 방법이다. tag : nth-child(숫자){ } - 해당 숫자 번째의 태그를 지정한다. - nth-child(even) : 짝수 번째 태그만 지정한다. - nth-child(odd) : 홀수 번째 태그만 지정한다. - nth-child(3n) : 3의 배수번쨰 태그만 지정한다. - nth-child(2n + 1) : 2n +..
HTML - 3 [Tag] 저번글에 작성했던 것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HTML문법 오류가 없더라도 브라우저는 그냥 그 코드 그대로 보여준다. 브라우저는 언제나 사용자에게 content를 보여준다. 즉, 내가 만든 HTML파일에서 어디에 오류가 있는지 알려주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것은 장점으로도 볼 수 있는데, 우리가 실수를 하더라도 페이지에 접속한 유저가 이러한 에러를 직접적으로 볼수가 없다. HTML의 목적은 브라우저에게 내용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태그와 태그 사이에 내용이 존재한다. 이러한 태그로 내용의 존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위와 같이 태그를 시작과 끝이 있게 달아주고 그 안에 내용을 입력한다. 그러면 브라우저는 김치라는 내용이 food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처럼 브라우저에게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 HTML이다...
HTML - 1 [브라우저, 웹사이트(HTML, CSS, JavaScript)] 우리는 브라우저라는 도구를 쓴다. 웹사이트 들을 돌아다니는 도구로써 사용하지만 웹사이트를 만들게 되는 개발자에 입장에서 살펴보면 사실 웹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저 text를 적는 것일 뿐. 예를 들어보자 유투브 뮤직 웹사이트 이다. 이것을 직접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 웹사이트의 소스를 살펴보면 이와 같이 매우 복잡한 웹사이트의 코드를 볼수 있다. 이러한 Text를 개발자들은 만든다. 이러한 웹사이트의 text를 웹브라우저에게 주게 되면 우리가 보는 웹사이트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어느 장소에 어떠한 Text를 적는가 이규칙만 잘 지켜서 웹브라우저에 text를 넘겨준다면 웹사이트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즉, 웹사이트는 text일 뿐이다. 웹사이트는 최소 2가지에서 3가지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