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YPE(Document Type)
HTML이 어떤 버전으로 작성되었는지 명시해주어 웹브라우저가 내용을 올바르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DOCTYPE> 으로 선언하는데 이걸해주지 않으면 호환모드(quirks mode)로 동작한다. 호환모드의 경우 각 브라우저마다 문서를 나타내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가 훨씬 심해지게 된다.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문서형식으로 DOCTYPE을 명시할 때 DTD를 지정해놓으면 HTML문서가 어떤 문서형식을 따르는지 알 수 있다.
문서형식으로서는
- XHTML 1.1
- XHTML 1.0
- Strict DTD
- Transitional DTD
- Frameset DTD
- HTML 4.01
- Strict DTD
- Transitional DTD
- Frameset DTD
- HTML 5
위 와 같은 것들이 있으며 각 문서형식마다 DOCTYPE 선언이 다르다.
한 예를 들면 아래는 XHTML 1.0 Strict DTD의 DOCTYPE 선언이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Strict//EN" "http://www.w3.org/TR/xhtml1-strict.dtd">
HTML 5
현재는 HTML 5를 사용하며 이는 웹의 표준을 따르는 문서형식으로 표준이 나오기전에 만들어진 웹브라우저들에서 동작하던 문서형식들 이후에는 대부분 HTML 5 문서형식을 사용한다. 즉, HTML 5는 웹 표준형식이다. 아래는 HTML 5의 DOCTYPE 선언이다.
<!DOCTYPE html>
현재로서는 HTML 5 의 DTD로 DOCTYPE을 명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참고
github.com/baeharam/Must-Know-About-Frontend/blob/master/Notes/html/doctype.md
baeharam/Must-Know-About-Frontend
:mortar_board: 취준생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프론트엔드 관련 지식들. Contribute to baeharam/Must-Know-About-Fronte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DOCTYPE(문서형 정의) 선언
모든 웹 문서의 시작은 문서형 정의(DTD)의 선언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일단 웹 사이트의 목적과 목표를 정확히 정한 후, 첫 번째로 HTML로 마크업할 것인지, XHTML, HTML5로 마크업 할지를 결정해야 합
webdir.tistory.com
stackoverflow.com/questions/414891/what-is-doctype
What is DOCTYPE?
What is DOCTYPE and why do I want to use it? What are the different DOCTYPEs I can us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tandards and quirks mode, and what are some quirks I may run into with differ...
stackoverflow.com
'CodeTech > HTML\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 ['data-' 속성] (0) | 2021.01.16 |
---|---|
HTML - [표준 모드와 호환 모드] (0) | 2021.01.15 |
HTML\CSS Tip - 3[CSS - uppercase ] (0) | 2020.10.09 |
HTML\CSS Tip - 2[Center에 놓이는 기술, Reset CSS, ColorZilla, page Ruler redux, :not[()] ] (0) | 2020.09.27 |
HTML\CSS Tip - 1 [코드 단축어, 아이콘사이트, index.html, fontawesome, heroicons, googlefont] (0) | 2020.09.26 |